- 배포 URL : https://i11a508.p.ssafy.io
- Test ID : ssafytest@naver.com
- Test PW : ssafy123!
물류 도메인은 상품, 서비스, 정보, 자원의 물리적 이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관리하는 시스템을 포함합니다. 공급망의 중요한 부분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상품을 보관하는 공간을 관리하고, 상품의 입출고, 재고 관리 등을 포함합니다.
- 적절한 창고 관리는 제품의 신속한 배송과 고객 만족도 향상에 기여합니다.
- 제품이나 자재의 양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과정입니다. 과도한 재고나 부족한 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략이 포함됩니다.
- 재고 관리는 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합니다.
- 제품의 포장, 라벨링, 취급 절차를 관리하는 부분입니다.
- 올바른 포장은 제품의 손상 방지 및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 고객의 주문을 처리하고, 제품을 적시에 배송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 이 과정은 물류의 신속성과 정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 물류 활동을 모니터링, 관리,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IT 시스템입니다.
- 실시간 데이터와 분석을 통해 물류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효율성: 물류 도메인은 제품이 적시에 정확한 장소에 도착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공급망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 비용 절감: 최적화된 물류 관리는 운송비, 보관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고객 만족: 신속하고 정확한 물류 서비스는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회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킵니다.
- 경쟁력: 물류는 많은 산업에서 경쟁력을 결정짓는 요소로, 빠르고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을 구축한 기업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Web WMS는 무인 매장이나 창고에서 여러 위치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재고 관리 시스템입니다. 다양한 기능을 통해 다중 로케이션의 재고를 최적화하여 관리합니다.
- 재고가 과도하게 쌓이거나 부족하지 않도록 최적의 재고 수준을 유지합니다.
- 효율적인 재고 관리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운영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 실시간 재고 모니터링과 자동화된 알림 시스템을 통해 품절을 예방하고, 매출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창고 및 매장의 재고 보관 능력을 극대화합니다.
- 재고 배치를 최적화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계합니다.
- 작업자의 이동 동선을 분석하여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배치 전략을 제공합니다.
- 이를 통해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과거의 판매 데이터와 트렌드를 기반으로 수요를 예측하여 재고 계획을 지원합니다.
- 수요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예측 모델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 효율성: 다양한 기능을 통해 재고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운영 비용을 절감합니다.
- 최적화: 재고 공간 및 작업자 동선을 최적화하여 생산성을 높입니다.
- 예측성: 수요 예측 기능을 통해 미래의 재고 필요량을 정확히 예측하고, 공급망 관리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김유석 | 이한솔 | 이수완 |
|
|
|
Team Leader, Project Manager Backend Frontend 소셜로그인 유저/사업체 |
Frontend Leader 웹 사이트 디자인 총괄 메인페이지 구현 마이페이지 구현 |
Frontend 창고 관리 주요 기능 구현 발표 및 영상 |
이동열 | 김준혁 | 신권일 |
|
|
|
Backend Leader, Infra CI/CD 및 배포환경 구축 비즈니스 로직 구현 백엔드 성능개선 작업 |
Backend 상품 이동 재고 압축 리팩토링 |
Backend 상품 입고 및 출고 출고 최적화 백엔드 코드 리팩토링 |
- 2024-07-08 ~ 2024-08-16 (7주)
태그: 제목의 형태이며 ':' 뒤에만 space가 있음에 유의한다.
feat
: 새로운 기능 추가fix
: 버그 수정docs
: 문서 수정style
: 코드 포맷팅, 세미콜론 누락refactor
: 코드 리팩토링test
: 테스트 코드 작성 및 수정chore
: 빌드 업무 수정, 패키지 매니저 수정
로그인 |
회원가입 |
창고 등록 |
창고 관리 |
창고 구매 |
창고 생성 |
로케이션 생성 |
벽 생성 |
상품 입고 |
상품 출고 |
상품 이동 |
알림 내역 |
재고의 이동과 다양한 경우의 수를 SW로 표현하고, 그 안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반례를 통제하는 것이 특히 의미 있었던 것 같다.
또한, 이를 통해 실제로 업무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미리 예측하고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성취감을 느꼈다.
물류 산업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영역이 많아, 앞으로도 더 많은 발전 가능성이 있음을 실감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SW와 데이터를 활용한 자동화 및 최적화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달았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를 개선하고 발전시켜 무결점 프로젝트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생소하고 재미없는 물류 프로젝트를 흥미롭게 생각해주고 재밌게 개발해준 팀원들에게 너무 감사하고 다음 프로젝트는 스스로 더 발전해서 팀원들을 더
편안하게 해주는 개발자로 성장하겠다.
새로운 개념과 기술을 경험해볼 수 있는 프로젝트였다.
기획 과정에서는 재고 관리라는 새로운 개념을 배우고 이를 컴퓨터 시스템에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팀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면서 함께 해결해 나갈 수 있었다.
기술적으로는 처음으로 인프라를 구축해보는 기회가 있었다. CI/CD를 설정하는 과정이 쉽지 않았지만 마무리하고 나니 정말 뿌듯했다. 이를 기반으로 프로젝트가 원활하게 진행되어 매우 만족스러웠다.
이처럼 많은 소통과 학습을 통해 얻은 것이 많은 의미 있는 프로젝트였다.
처음 접하는 도메인이어서 도메인 지식을 공부하고 기획하는 데만 2주가 걸렸다. 저번 프로젝트의 총 진행 시간이 약 2주였음을 감안하면 꽤 긴 시간이었다.
기획에 꽤 오랜 시간이 걸렸기 때문에 실제 개발 시간은 부족할 줄 알았으나 일정 수준의 완성도까지는 오히려 더 금방 도달했다고 생각한다. 그만큼 좋은 기획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다만 초기 개발 과정에서 프론트와 소통하는 시간이 부족해서 한바탕 뒤엎는 과정이 있었다. 프론트와 더 빨리, 많이 소통했다면 더 나은 결과물이 나올 수 있었음을 생각하면 아쉬운 부분도 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도메인 지식을 받아들이는 방법,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 코드 리뷰의 중요성 등 현업에서 중요하다고 얘기하는 것들의 이유를 알 수 있게 되어 기쁘고 즐거운 경험이었다.
기술적으로는 EC2 서버에 RDS 데이터베이스를 올리는 경험을 했고, JPA를 다루는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한다. 환경의 어려움 때문에 적용하진 못했지만 Redis, AWS Redshift와 같은 IN-MEMORY DATABASE에 대해서도 학습할 수 있어서 좋았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한 단계 성장한 느낌이 든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엔 더 잘 할 수 있겠다고 생각한다.
생소한 도메인을 가지고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되어 설계부터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 과정에서 많은 경험을 얻었던 것 같습니다.
이를 통해 앞으로 또 다른 생소한 도메인을 기반으로 개발해야 할때 이번 프로젝트의 경험을 살려 더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용자들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했습니다.
단순히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를 넘어서서 어떻게하면 더 자연스러운 사용자 경험을 만들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 여러 기능들을 추가하다보니 예상치 못한 오류들도 자주 겪었습니다.
오류들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간의 소통의 중요성을 깨달았고 끊임 없이 소통하며 효율적인 업무의 흐름을 갖춰 나갈 수 있었습니다.
next.js 를 사용하여 프론트엔드 업무를 담당하면서 next.js의 프로젝트 구조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다양한 정보들을 화면에 즉각적으로 랜더링하는 업무들을 처리하며 next.js 에서의 상태 관리 방법을 확실하게 습득하게 되었습니다.
한 달 이상 지속되는 프로젝트가 처음인 만큼 많이 배운 것 같습니다. 1학기 때는 뭣도 모르고 머리에 넣기 바빴는데, 프로젝트를 통해 직접 써보고, 또 더 나아가서 찾아보고 이해하는 과정을 거쳐서 제가 원하는 것을 직접 구현하니 더 많이 배우고 체화되었다는 느낌이 듭니다.
아쉬운 점은 제가 제 능력을 모르고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니 시간 설계에 있어서 어디까지 해낼 수 있을 지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그러한 부분을 채울 수 있었다는 점에서 좋았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훌륭한 팀원 분들과 도메인 지식이 있는 팀장님의 콜라보로 7주 간의 여정을 잘 마무리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프로젝트들과 나아가 현업에서도 공통 프로젝트의 경험을 살려서 잘 헤쳐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들 고생 많으셨고, 감사합니다.